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zure
- PIR
- Private Key
- Python
- adafruitio
- circuitPython
- PuTTYgen
- IoT Central
- thonny
- openssl
- SSH
- Raspberry Pi
- w5500-evb-pico
- ubuntu
- Ethernet
- putty
- W5500
- 라즈베리파이3
- Linux
- WIZnet
- vscode
- ChatGPT
- W5100S-EVB-Pico
- nodejs
- x.509
- micropython
- RP2040
- aws
- W5100S
- raspberrypi
- Today
- Total
목록All (53)
Develop Note

지난 글에서, W5100S-EVB-Pico를 X.509 인증서를 사용해 Azure IoT Central에 인증 및 연결하는 방법을 정리했었다. [W5100S-EVB-Pico] Connect to Azure IoT Central with X.509 certificate 위 과정을 간략히 정리해본다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을 것 같다. W5100S-EVB-Pico 개발환경 설치 IoT Central 어플리케이션 생성 및 설정 X.509 인증서 생성 (Using OpenSSL) 프로젝트 다운로드 및 빌드 실행 및 모니터링 이번 글에서는 연결된 W5100-EVB-Pico에 C2D(Cloud to Device)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활용해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Azure I..
Raspberry Pi OS에서 고정 IP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둔다. 몇년 전에는 /etc/network/interfaces 파일에서 IP를 설정하는 방식을 사용했어서 그 방식을 그대로 사용해오고 있었는데 최근(?) 릴리즈에서 /etc/dhcpcd.conf 파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참조할 수 있다. Raspberry Pi Configuration: The DHCP Daemon Previous versions of Raspberry Pi OS used the file /etc/network/interfaces for network interface configuration: if an interface is listed in this file, a..
이전에 Medium을 잠시 동안 사용하면서 몇개 포스팅을 했었는데, 업로드했던 글을 markdown 형태로 만들어서 리비전하고 관리하고 싶었다. 검색해보니 몇가지 방법이 있었는데, 그 중 medium-to-markdown 이라는 nodejs 패키지를 사용해 보았다. 설치와 사용은 꽤 간단하다. Install npm install medium-to-markdown 자주 사용할 거라면 global로 설치할 수도 있다. npm install -g medium-to-markdown Convert post Example code 기본 동작 코드는 다음과 같다. (참조: https://github.com/dtesler/medium-to-markdown#api-usage) const mediumToMarkdown =..

사용하던 라즈베리 파이에 최신 버전의 OS를 다시 설치해서 사용하기 위해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니, RPI Imager라는 tool이 새로 나와 있었다. Imager로 OS 설치 후 Headless로 간단한 설정 및 SSH로 접속하는 내용을 새로 정리해 본다. Materials Windows 10 64bit 환경 Raspberry Pi 3 or 4 Zero 모델의 경우 WiFi 설정 필요 Micro SD card (최소 16기가 이상) Micro SD card 리더기 (USB) Ethernet 케이블 RPI Imager로 Raspbian OS 설치 기존에는 Win32DiskImager를 사용해서 iso 이미지 파일을 직접 sd card에 write 했었는데, 이번에 RPI Imager를 사용해보면서 느낀 점..

동일한 PC를 몇년간 사용해 왔는데, 최근 C 드라이브 용량이 상당히 부족해졌다. (디스크는 256GB SSD를 사용중이다) 최근 들어 용량이 계속 10GB 미만으로 남아 있다가 오늘 확인해보니 뭔가가 계속 쌓여 한계점까지 와서 드라이브 정리를 했다. 제어판 프로그램 관리에서 사용하지 않거나 필요 없는 프로그램들을 아무리 정리해봐도 용량 확보가 되지 않아, 디스크 분석 Tool을 사용해보기로 했다. 디스크 분석을 위한 무료 Tool 중 몇가지가 있는데, 그 중 Treesize와 SpaceSniffer라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고 Treesize는 설치형인 반면 SpaceSniffer는 설치 없이 Potable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서 후자로 선택했다. SpaceSniffer 키워드로 검색하면 가장 상단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