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openssl
- Azure
- thonny
- W5100S-EVB-Pico
- micropython
- PuTTYgen
- PIR
- W5100S
- vscode
- x.509
- Python
- putty
- Raspberry Pi
- adafruitio
- 라즈베리파이3
- ubuntu
- nodejs
- SSH
- Ethernet
- Linux
- RP2040
- IoT Central
- Private Key
- WIZnet
- w5500-evb-pico
- W5500
- circuitPython
- aws
- raspberrypi
- ChatGPT
- Today
- Total
목록Linux (3)
Develop Note
Linux kernel WIZnet의 W5500 linux driver에 대해 검색하던 중 linux kernel github repository에서 관련 업데이트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했다. 커밋 ID를 통해 들어가 보면 v5.2-rc3 버전부터 업데이트 된 것으로 보인다. Link: Linux kernel (drivers/net/ethernet/wiznet) Commit comment는 아래와 같이 나와 있고, 설명을 보면 w5x00의 device tree를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net: ethernet: wiznet: w5X00 add device tree support The w5X00 chip provides an SPI to Ethernet inteface. This patch allows pl..
현재 사용중인 리눅스의 배포판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1. lsb_release 명령어 사용 // ubuntu 14.04 $ lsb_release -a No LSB modules are available. Distributor ID: Ubuntu Description: Ubuntu 14.04.5 LTS Release: 14.04 Codename: trusty // ubuntu 16.04 $ lsb_release -a No LSB modules are available. Distributor ID: Ubuntu Description: Ubuntu 16.04.3 LTS Release: 16.04 Codename: xenial 2. grep . /etc/*-release // ubuntu 14.04..
※ 다음 내용은 Ubuntu 리눅스 기준이며, 다른 배포판의 경우 내용이 다를 수 있다. 리눅스를 설치할 때 Timezone을 설정하지 않으면 UST/PST 등으로 기본 설정되어 한국이 아닌 다른 국가의 시간으로 나오게 된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자동으로 timezone을 잡기도 함) Timezone을 한국 표준시인 KST로 변경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 ‘Seoul’ 파일 확인 $ ls /usr/share/zoneinfo/Asia // Localtime 심볼릭 링크 재설정 $ sudo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 적용 확인 $ date Fri Oct 28 11:10:43 KST 2016